초지 - 목초의 초종별 특성과 수량



1. 초종별 특성 및 생육환경

 

 가. 화본과목초

  1) 오차드그라스(Orchardgrass)

   ○ 학명 : Dactylis glumerata L.

   ○ 원산 : 유럽이 원산지이고 한국에서는 오리새라는 자생종이 있음

   ○ 내력과 분포 : 유럽이 원산지이며, 한지형 목초, C3 식물, 영년생 상번초(上繁草)이며, 초형(草型)은 다발형(株型, bunch type). 이삭이 닭발 모양 같다하여 영국에서는 Cock's foot이라 하며, 염색체는 동질 4배체(4x=28, autotetraploid)로 타가수정하는 식물. 우리나라에서는 초지 조성할 때 주초종(主草種)으로 이용되고 있음

   ○ 형태적 특징 : 화본과 목초로서 잎에는 엽이(葉耳)가 없고, 엽설(葉舌)712mm로 크며 유백색(乳白色)이고 3각형이고 선단이 세열()되어 있음. 엽신(葉身)3060cm 길고, 폭은 1cm 되며, 겹쳐 나오고 담녹색임. 엽초()는 납작하고(扁壓) 매끄러우며, 줄기는 곧게 서고 90150cm 정도임.. 한줄기에 잎이 몇 개 안 달리고, 뿌리는 섬유근으로 강하며 넓게 퍼짐. 이삭(, flowering head)은 원추화서(圓錐花序, panicle)이며 1030cm 길고 많은 소수(小穗, spikelets)가 밀집하게 달림

   ○ 생리적 특성 : 온난 다습지대와 고지대에도 잘 적응하는 초종으로 내음성(耐陰性), 내한성(耐寒性), 내한성(耐旱性), 내산성(耐酸性)등은 좋으나 내습성(耐濕性)이 약한 것이 단점임. 가끔 고령지 고산지에서는 겨울에 동해(凍害)가 발생함. 뿌리의 발달이 좋아서 Smooth bromegrass만 못하지만 Timothy 보다는 가뭄에 잘 견디고 예초(刈草)나 방목후 재생이 빠름. 토양에 적응범위가 넓어(pH 68) 극산성 토양에서는 자라나, 염지나 알카리성 토양에서는 잘 자라지 못함. 배수 양호한 토양에서 잘 자라고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증수하나 반면 질소비료가 부족하면 생육이 부진함

  ○ 재배와 이용 : 조성후(造成後) 이용은 출수기(出穗期)때 예취(刈取)하여 건초나 담근먹이를 만들고, 수잉기(穗孕期, boot stage) 이전에 방목(放牧) 또는 청예(green fodder)로 이용함. 어릴때는 가축의 기호성과 소화율이 좋으나 출수되면 식물조직이 거칠어지고 기호성이 떨어짐. 주 양분 저장기관이 줄기 아래 부분과 잎이기 때문에 강방목이나 고정방목 또는 낮게 예초하면 재생(再生)이 불량하여 초지가 나빠짐. 따라서 초고(草高)2025cm 때 방목을 시작하여 초고가 약 10cm 될때 까지만 방목을 하고, 예취할 때는 710cm 높이의 그루터기를 남기는 것이 좋음

 

   ○ 장려품종 : 합성2, 온누리, 온누리2, 럭키원, 코디, 코디원, 장벌101, 장벌102, Potomac, Frode, Frontier, Ambassador, Hallmark, Summer green, Amba, Warrior, 93E


       

 

 2) 톨 페스큐(Tall fescue)

  ○ 학명 : Festuca arundinacea Schreb

  ○ 원산지: 서부유럽과 북Africa

  ○ 내력 및 분포: 한지형 목초, C3 식물이고 영년생 상번초이며, 초형은 다발형. 원래는 자연계의 숲속에 있었던 것이 귀화되어 목초로 이용되고 있는데 유럽에서는 잡초로 취급되고 있지만 미국이나 아열대 지대에서는 중요한 목초 중의 하나이고, 현재 재배되고 있는 톨 페스큐의 염색체(染色體)6배체 식물임.

  ○ 형태와 특징 : 화본과 목초로 엽이(auricle)는 작고 줄기를 싸고 있으며 털이 있음. 엽설은 0.20.8mm로 길고 막형(膜型)이며 끝이 무딤. 엽신(葉身)은 평편하고 뻣뻣하며 510mm 넓고 표면에 엽맥이 뚜렷함. 엽신 선단의 45cm 부위에 짤룩이가 있고 가장자리에 잘 발달된 규질거치(珪質鋸齒, silicate teeth)가 있어 매우 거침. 그리고 새로 나오는 잎은 말려서 나옴. 엽초는 원통형이고 매끄러우며, 중첩형(重疊型)이고 밑부분이 붉은색임. 줄기는 둥글고 직립이며 120cm 내외 크고, 뿌리는 섬유근으로 깊고 넓게 뻗으며 짧은 지하경이 발달되어 있음. 이삭은 편수형(扁穗型)인 원추화서이고 최하단에 2개의 이삭가지가 있어 그중 하나는 길고, 다른 하나는 짧다. 소수(小穗)45개의 영화로 구성되어 있음. 톨 페스큐와 메도우 페스큐는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우나 메도우 페스큐는 외영에 털과 망()이 없고 잎귀와 경령에도 털이 없음

 

  ○ 생리적 특성 : 온난 다습조건을 좋아하나 비교적 고온과 건조에 강하고 고산지에도 잘 적응하며, 낮은 온도에서도 생육이 양호함. 토양은 적응범위가 넓어 건조지대, 습지, 산성 및 알카리성 토양, 염지 토양에도 잘 적응하나 중성이면서 비옥하고 다습한 토양에서 수확량이 많음. 파종후 초기조성은 느리나 일단 조성되면 여러 요인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하고, 예취 후(刈草後) 재생(再生)도 좋음. 이른 봄에는 제일 먼저 생육이 시작되며, 초기에는 Perennial ryegrass 또는 Italian ryegrass 보다 경합력이 약하나 일단 조성이 되고 난 후에는 어느 초종보다도 경합력이 강함

  ○ 재배와 이용 : 파종량은 단파일 경우에는 ha2030kg를 하고, 두과와 혼파할 경우에는 20kg로 함. 건초나 담근먹이를 만들 경우에는 출수기때 예취하고, 청초사료나 방목 이용할 경우에는 수잉기 이전에 함. 이 초종은 어릴 때는 잎이 부드러워 가축이 잘 뜯지만 식물이 커지면서 잎과 줄기가 거칠고 기호성이 떨어져 가축이 기피함. Tall fescue의 엽초에는 사상균(Endophyte)이 있어 단시간 내에 많은 Tall fescue 만의 생초를 섭취하면 소가 뒷다리를 절고, 식욕이 떨어지고, 야위며 심하면 폐사에 이름. 최근에는 Endophyte free 품종이 개발되어 있음

  ○ 장려품종 : 그린마스터, 그린마스터 2, 그린마스터 3, 푸르미, Fawn, Alta, Festorina, Felopa, AU-Triumph, Cajun, Montebello, Festival,  

 

 

 3) 메도우 페스큐(Meadow fescue)

  ○ 학명 : Festuca pratensis Huds

  ○ 원산지: 유럽

  ○ 내력과 분포 : 전 유럽과 온대 Asia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유럽초지의 중요한 초종중의 하나임. Festuca란 풀의 줄기(grass culm)를 뜻하고 pratensis란 채초지(採草地, meadow)를 의미함. Meadow fescue는 염색체상으로 2배체(2x=14) 식물임

 

  ○ 형태적 특징 : 화본과 초종으로 엽이(葉耳)는 크고 줄기를 꽉 싸고 있으며, 엽설(葉舌)26mm 되는 백녹색이며 막형이고 끝이 매우 무딤. 엽신은 평편하고 폭은 38mm 이며 약간 거칠음. 엽신 표면은 엽맥이 뚜렷하고 이면()은 심한 광택이 있음. Tall fescue와 같이 잎선단 부위에 짤룩이가 있고, Tall fescue 보다 엽신이 짧고 가장자리가 덜 거칠음. 그리고 새로운 잎은 말려서 나옴. 엽초()는 원통형이고 매끄러우며 중첩형(重疊型)이고 밑부분이 적자색. 줄기는 직립이고 총생(叢生)이며, 뿌리는 얕게 퍼짐. 종자는 천립중이 2g 정도 되는 중립종이고 무망종(無芒種)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식물이고 다년생 초종임.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를 좋아하지만 대륙성기후에도 적응함. 내습성(耐濕性)은 좋지만 내한성(耐寒性)Timothy 만은 못하고, Italian ryegrass 보다는 강함. 내비성(耐肥性)이 좋아 비료를 많이 줄수록 증수됨. 유묘기(幼苗期)에는 생육이 느리지만 후기생육이 빠르고, 경합력은 약하지만 재생력은 우수함. 토양은 가리지 않아 어떤 토양에서도 자라지만 비옥하고 습한 토양에서 증수되며, 추운지방에서는 질적으로 Ryegrass를 대치할 수 있는 초종임

  ○ 재배와 이용 : 형태적으로 Tall fescue와 유사하나 키가 짧고 사료가치와 기호성은 훨신 좋으나 Perennial ryegrass 만은 못함. 방목이나 예초후 재생(regrowth)도 좋고 후기녹색체(stay green)도 초겨울까지 유지됨. 주로 두과와 혼파 재배하여 방목하거나 건초를 만들고, 가끔 토양침식 방지용으로 재배하기도 함

  ○ 장려품종 : Joma

 

 4) 페레니알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 학명 : Lolium perenne Schreb

  ○ 원산지 : 남유럽

 

  ○ 내력과 분포 : 원산지는 남유럽으로 서부 유럽국가의 중요 초종중 하나임. 염색체상 자연상태로는 2배체 식물이나, 인위적으로 4배체 품종을 만들어 농가에 보급되고 있음. 재배역사가 길고, 유럽을 위시하여 북남미, 호주, 뉴질랜드등 세계 온대지역 여러 나라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유전적인 변이가 크고 다양한 생태형이 있음

  ○ 형태적 특징 : 화본과 목초로 하번초(下繁草)이며 방목형, 집약초지용임. 엽이(葉耳)는 발톱형(claw-like)으로 작고 줄기를 싸고 있으며, 엽설은 0.51.5mm 의 막형(膜型)이고 끝이 매우 무딤. 경령(莖領, , collar)은 뚜렷하고 중간정도 넓으며 매끄럽고 분리형(分離型). 엽신(葉身)은 평편하고 폭은 2.5mm 정도이며 엽신의 표면에는 엽맥이 뚜렷하여 요선(凹線)이 많고 이면()은 용골상(骨狀)이며 심한 광택이 있음. 엽신은 겹쳐 나오고(folded) 끝이 둔함. 엽초는 줄기를 싸지 않고 느슨하며 유식물일 때는 어느 정도 평편함. 엽초의 아래쪽 밑부분은 담자색임. 뿌리는 섬유근이고 지표면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줄기는 밑부분이 어느정도 비스듬히 누워있음. 이삭은 길고 직립이며, 평편한 2조수(2條穗)인 수상화서(spike). 종자는 중립종이며 까락이 없음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목초로 C3 식물이고, 영년생.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며, 내습성(耐濕性)이 좋아 저습지에서도 잘 자라고 습윤한 식토(殖土)에서도 적응하나, 겨울이 춥고 여름이 더우며 건조한 토양에서는 적응하지 못함. 따라서 여름에 하고현상(summer depression)이 심하고 겨울이 추우면 동사함. 질소비료를 많이 줄수록 증수되며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부진하고 예초(刈草)나 방목후 재생(再生)은 좋음.  우리나라 기후에서는 다른 초종과의 경합력(競合力)이 약함

  ○ 재배와 이용 : 초지조성이 쉽게 되나 또한 환경이 불량하면 쉽게 실패할수 있음.  식물조직이 부드럽고,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소화율이 높고, 가축의 기호성이 좋아 소가 잘 먹음. 초기생육이 빠르고 재생이 좋으며 하번초(中繁草)이기 때문에 방목이용에 알 맞으며 봄과 가을에 수량이 많고 여름에는 수량이 적어 계절간 수량차이가 심한 초종임

  ○ 장려품종 : Norlea, Taptoe, Reveille, Bastion, Ellott, Bison, Friend, Tetrelite

 


 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Italian ryegrass)

  ○ 학명 : Lolium multiflorum Lam

  ○ 원산지 :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지중해연안 지역

  ○ 내력과 분포 : 유럽남부와 북Africa, 중앙아시아 등에 야생하고 있음. 이 초종은 1년생이라 알려저 있지만 환경에 따라 월년생(越年生), 다년생이기도 함. 기본 염색체는 2배체 식물이나 인위적으로 4배체 품종을 만들어 농가에 보급되고 있음. 우리나라에는 1955년에 미국으로부터 도입되어 남부지역의 답리작으로 논에, 그리고 기타지역의 밭에서 재배되고 있음

  ○ 형태적 특징 :  화본과 목초로 상번초(上繁草)이고 총생(叢生)하며 키는 120cm 정도임. 엽이는 뚜렷하고 발톱형으로 줄기를 꽉 싸고 있으며, 엽설은 청백색으로 12mm 긴 엷은 막()이고 끝이 무딤. 엽신은 평편하고 37mm 되는 광엽이며 매끄럽고 선단이 둔함. 엽신 표면에는 엽맥이 뚜렷하며 이면에는 심한 광택이 있음. 엽의 가장자리는 매끄럽고 어릴 때 엽초속에서 둘둘 말려 있으며 외부로 전개되면 평편해짐. 엽초는 원통형으로 매끄럽고, 줄기를 꽉 싸고있음. 줄기는 둥글고 지상부 마디는 24개이며 기부는 담자색을 띠고 있음. 이삭은 3040cm로 길고 가늘며,  2조수(條穗)인 수상화서(spike)이며 종자는 유망종(有芒種)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 식물이며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고, 내습성(耐濕性), 재생력등은 좋으나 내한성(耐寒性)과 내하고성(耐夏枯性)이 약한 것이 단점임. 적정 생육온도는 1521℃이고 우리나라에서 재배 안전지대는 과거에는 남부지역의 쌀보리 재배지역이 었으나 현재는 추위에 강한 품종 개발로 중부 및 중북부지역까지 재배가 가능함. 비료는 많이 줄수록 증수되며 건조한 토양보다 습윤한 토양에서 잘 자라므로 답리작으로 재배하기 알맞는 작물임. 토양의 종류와 산도에도 적응력이 넓음.

  ○ 재배와 이용 : 파종적기는 중부지방은 9월 하순, 남부지방은 10월 상순임. 파종량은 밭에서 단파일 경우 ha3040kg, 논에서는 파종상이 거칠기 때문에 4050kg . 파종방법은 세조파(細條播)나 산파(散播) 또는 벼 입모중 파종을 함. 식물조직이 연하며, 줄기보다 잎부분이 많고, 영양가가 풍부하여 가축의 기호성이 좋아, 품질이 가장 우수한 초종중의 하나임. 그리고 생육이 빨라 토양피복이 빠르기 때문에 조기방목이 가능함. 주로 청초로 이용하나 건초나 담근먹이를 만들며, 녹비작물(肥作物)로 재배하기도 함

  ○ 장려품종 : 2배체 품종으로 국내 개발 품종인 코윈어리, 코그린, 코스피드, 그린팜, 그린팜2, 그림팜3, 고윈마스터와 외국품종인 Florida 80, Bettina, Wencke, Gordo, Sikem, Bartissimo, Combita, Tosca, Marshall, Ribeye 있고, 4배체 품종은 국내개발 품종인 화산101, 화산102, 화산103, 코위너, 화산105호와 외국품종인 Tetrone, Barmultra, Tetraflorum, Wilo 등임

 

 

 

 6) 켄터키 불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

  ○ 학명 : Poa pratensis L.

  ○ 원산지 : 유럽, 북부아시아

  ○ 내력과 분포 : 온대지역 여러나라에 분포되어 있음. 체세포 염색체는 28에서 124까지 다양하며 가끔 유성번식하는 개체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처녀생식(apomix)하는 초종임. 따라서 자웅수정 없이 종자를 얻을 수 있음. 품종간 차이가 심하며 한품종 내에서도 균일도가 떨어짐. Kentucky bluegrass란 이름은 미국 Kentucky 주에서 항상 푸른 상태로 유지되는 데서 유래한 것임

  ○ 형태적 특징 : 초고(草高)2060cm 되는 하번초이고 왕성한 지하경이 있으며 잔디를 형성하는 초종임. 새로운 잎은 겹쳐나와 횡단면이 V자형을 나타내고, 엽설은 막형(膜型)이며 엽이는 없음. 엽신은 끝이 뱃머리모양이며 세엽(細葉)이고 매끄러우며 약간의 광택이 있음. 중맥을 햇빛에 비춰보면 하얀 2개의 요선(凹線)이 보임. 뿌리는 얕게, 넓게 퍼지며 지표면으로부터 약 5cm 내에 주로 분포되어 있고 튼튼한 지하경이 있음. 이삭은 원추화서(panicle)이고 각 이삭마디에 이삭가지가 있으며 맨아래 이삭마디에 46개의 이삭가지가 붙어있다. 종자는 소립이고 암갈살색이며 무망종임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식물이며, 영년생으로 내한성(耐寒性), 경합력, 재생력, 제상력(蹄傷力) 등은 강하나 더위와 건조 그리고 병에 약함. 발아와 초기생육이 느리나 일단 정착하면 강한식물이 되고, 공격적이며 초봄에 일찍 생육이 시작된다. 경쟁력도 강하고 왕성한 지하경으로 잔디형성이 잘되어 제상력도 강하고 낮게 예초하거나 강방목에도 적응함. 선선한 기후를 좋아하고, 대륙성 기후에도 적응하며, 토양은 적응범위가 넓어 어느 토양에서나 잘 자라며 내음성도 강함. 내염성이 약하고 담수상태에서는 생육이 부진함

 

  ○ 재배와 이용 : 방목 이용하거나 잦은 예취로 이용하면 좋으며 운동장의 잔디, 골프장, 도로 절토면이나 경사지의 토양침식 방지 등 이용목적이 다양함. 발아 및 초기 생육이 느리므로 봄에 파종하면 실패하고, 가을 너무 늦게 파종하면 월동이 불량하므로 8월 하순 ~ 9월 상순에 파종함. 엽비율이 높고 조단백질과 비타민D 함량이 많으며, 가축에 급여하면 우유의 유지방 함량이 높아지고, 버터의 품질이 좋아지며, 영양가와 가축의 기호성이 좋은 양질의 조사료임. 가뭄과 더위에 약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에 수량이 적고 대부분의 잎이 밑부분에 분포되어 있서 건초 이용에는 부적합한 초종임

  ○ 장려품종 : Kenblue, Monopoly

 

 

 7) 리드 카나리그라스(Reed canarygrass)

  ○ 학명 : Phalaris arundinacea L.

  ○ 원산지 : America와 유럽

  ○ 내력과 분포 :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의 온대지방에 자생하고 있으며, Reed canarygrass란 이름은 이 풀 자체가 갈대와 같이 거칠고 종자를 canary란 새의 모이로 이용하고 있는 1년생 Phalaris canariensis 의 종자와 비슷한데서 유래 했다는 설과 P.canariensis가 자생하고 있는 Canary island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음

  ○ 형태적 특징 : 화본과 목초로서 엽이는 없고, 엽설은 크고 백색이며 끝이 뽀쪽함. 엽신은 2030cm 길고 폭은 815mm 이며 다소 평활하고 얇으며 촉감이 껄끄러음. 엽초는 원통형이고 매끄러움. 키는 약 1.4m 되는 상번초이고, 줄기에 잎이 많은 편임. 뿌리는 섬유근으로 심근성이며, 짧고 굵은 튼튼한 지하경이 있어 띠형성을 잘하며 이 지하경의 각 마디에서 뿌리와 신초가 나와 새로운 식물체가 됨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식물로서 기온이 낮으면 수량이 저조하나 선선한 기후와 습한 곳을 좋아함. 내습성이 좋아 2개월 정도 담수상태에도 생존하며 따라서 배수로 주변, 계곡, 강변의 범람지역에 잘 적응함. 내건성(耐乾性)은 좋으나 토양이 건조하면 수량이 감소하며 비옥한 토양이 좋으나 배수 불량한 곳, 저습지, 약산성 토양과 약알카리성 토양에서도 생장함. 종자에 왁스 성분이 있어 매끄럽고, 기름기 있는 종피 때문에 발아율이 낮고 발아하는데 약 2440여일 소요됨. 이와 같이 발아가 늦고 유식물이 더디게 자라 초지조성이 완전하게 되려면 23년이 소요됨. 내한성, 내습성, 내서성(耐暑性), 내건성(耐乾性)등은 좋으나 내염성(耐鹽性)이 약하고 도복이 잘 됨. 재생은 좋으나 재생속도가 느리고, 일단 조성만 되면 경합력이 강하고 식물이 아주 공격적임

  ○ 재배와 이용 : 번식은 종자로 하고, 줄기를 세절하여 축축한 땅위에 뿌려두면 뿌리가 나와 정착한다. 봄에 파종하면 발아가 늦어 잡초 때문에 초지조성을 실패하게 되므로 가을에 파종해야 함. 원칙적으로 리드카나리그라스는 방목용이지만 건초나 단근먹이를 만들기도 함. 방목할 때는 과방목을 피하고 건초를 만들 때는 늦게 예취하면 수량은 많으나 사료품질이 떨어지므로 출수 시작할 때 예취함. 년간 23회 예취하고 높게 예취함. 왕성한 지하경이 있어도 낮게 예치하면 재생이 불량함. 사료 품질면에서 보면 식물조직이 거칠고 alkaloid를 함유하며, 조단백질 함량이 낮아 가축의 기호성이 떨어짐. 리드카나리그라스 만을 장기간 방목하거나 급여하면 가축의 신경계통이나 심장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어 다른 초종과 혼합하여 급여함

  ○ 장려품종 : Frontier, Vantage, Venture

 

 

 8) 티머시(Timothy)

  ○ 학명 : Phleum pratense L.

  ○ 원산지 : 서유럽

  ○ 내력과 분포 : 서유럽, 중앙과 북America 등지에서 발견되며 세계적으로 온대지방 여러나라에 분포되어 있음. 1720년 영국인 Timothy Hanson씨가 미국으로 건너갈때 이 종자를 가지고가 재배한데서 초종이름이 유래되었음.

  ○ 형태적 특징 : 화본과인 목초로서 엽이(葉耳)는 없고, 엽설(葉舌)3mm로 길고 유백색(乳白色)이며 끝이 톱날형임. 엽신(葉身)30cm 되고 폭은 1cm 되며 완전히 전개되면 반나선형이며 담녹색임. 엽초()는 매끄럽고 원통형임. 뿌리는 섬유근으로 얕게 뻗고, 지표면 줄기 밑부분의 절간(節間)이 팽대하여 구경(球莖, corms)를 형성함. 출수했을 때 키는 120150cm가 되고 이삭은 510cm로 길며 개꼬리 같고  종자는 소립이고 종피(種皮)에 약간의 광택이 있음

  ○ 생리적 특성 : 서늘하고 비교적 습윤한 곳을 좋아하며 고지대에도 잘 적응함. 내한성(耐寒性), 내산성(耐酸性), 내비성(耐肥性)이 좋으나 발아와 정착(定着)이 늦어 파종초기에 건조에 예민하고, 유묘기에는 왕성하게 자라나 예초(刈草)후 재생속도가 느림. 개화는 우리나라에서 67월에 하나 파종 당년에는 출수하지 않고 식물체 기부(基部)에서 새로운 얼자(蘖子, tiller)와 하부잎이 많이 나와 초지를 형성한다. 이 초종은 일장(日長)에 매우 민감하여 일장이 7시간 이하이면 영양생장(榮養生長)만 하고 12시간 이상 되어야 출수개화를 함. 토양은 비옥할 수 록 좋고 습윤한 식양토를 좋아하며 장기간 고온이나 건조에는 생육이 불량함

  ○ 재배와 이용 : 적기보다 만파되면 이 초종은 발아와 정착이 늦기 때문에 초지조성의 성공률이 떨어짐. 파종후 초기생육이 느리고, 초봄에도 생육이 늦어 줄기발달과 재생이 느리기 때문에 혼파재배하여 방목으로 이용함. 소화율은 중간정도이고, 출수하면 사료가치가 떨어져 가축이 잘 뜯지 않는다. 이 초종은 잦은 예초나 방목에 민감함. 어릴때는 방목으로 이용되지만 출수후에는 건초나 담근먹이를 만들어 이용함

  ○ 장려품종 : Climax, Clair, Odenwaelder, Hokuro, Kunpu, Liphlea, Richmond 

               

 

 

 9) 레드 톱(Red top)

  ○ 학명 : Agrostis alba L.

  ○ 원산지 : 유럽

  ○ 내력과 분포 : 원산지는 유럽이며, 세계 온대권 국가에 분포되어 있음. 출수 개화할 때 이삭과 종자가 붉은색을 띠고 있어 재배포장이 붉은색으로 보이므로 여기에서 Red top이란 이름이 유래되었음

  ○ 형태적 특징 : 영년생이며 여러가지 식물형태(plant type)가 있음. 키는 비옥한 토양에서는 1m 정도 크고, 잎은 부드럽고, 엽신(葉身)은 엽초()속에서 말려 나오며, 엽설(葉舌)15mm . 엽이(葉耳)는 없고, 엽초는 원통형이고 매끄러우며 절간장(節間長)보다 짧음. 엽신은 평편하며 선단(先端)이 뾰쪽하고 길이는 75cm 되고 엽폭은 23mm 이고 가장자리가 거칠며, 엽신의 표면은 요선(凹線)이 있음, 이면()은 반들반들하다. 줄기는 총생(叢生)이고 키는 70cm . 뿌리는 얕게 퍼지고 지하경(地下莖)이 있음. Red top은 띠형성에 있어서 Kentucky bluegrass 처럼 빽빽하지 못하며 가축의 기호성(palatability)도 떨어짐. 이삭은 약 15cm 긴 산발형 원추화서(圓錐花序, reddish spreading panicle)로서 붉은색을 띠고, 종자는 아주 소립(小粒)이고 무망종(無芒種)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식물로서 한냉한 기후를 좋아하고 척박지, 습지등 토양 적응범위가 넓음. 따라서 산성토양이나 건조한 토양,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도 잘 생육함. 개화기는 비교적 늦으며 다른 초종과의 경합력(競合力)은 아주 강하고 침략적이나, 예초(刈草)후 재생력은 좋지 않음. 기는 습성이 있어 비교적 잔디형성을 잘하고, 방목이나 잦은 예초에도 적응함

  ○ 재배와 이용 : 척박한 곳이나 습한 곳에서 건초 또는 방목초지용으로 이용되고, 주로 사료용이나 기호성이 그다지 좋지 않아 가축이 즐겨 뜯지 않으므로 방목 및 계목(繫牧)으로 이용함. 보통 LespedezaClover등 두과와 혼파하여 방목하거나 건초를 만듬. 윤작지대(作地帶)에서는 잡초화(雜草化)가 되므로 재배에 부적합하며, 토양 보존용으로 이용되기도 함

  ○ 장려품종 : Streaker

 


. 콩과목초

 1) 알팔파(Alfalfa)

  ○ 학명 : Medicago sativa L.

  ○ 원산지 : 지중해와 서남아시아 지방

  ○ 내력과 분포 : 세계 온대, 아열대 기후지대에 널리 분포되어 재배되고 있음. 재배역사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단백질 함량과 사료가치가 높아 목초의 여왕(the queen of forages)이라 일컬어 짐.

  ○ 형태적 특징 : 다년생 두과(豆科)작물이고 직립성, 또는 반직립성의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초장(草長)100150cm . 잎은 마디마디 하나씩 어긋나게 나오고, 잎자루(葉柄)는 길며, 3개의 소엽(小葉, leaflets)2개의 탁엽(托葉, stipule, Nebenblatt)으로 구성되어 있음. 소엽은 타원형이며, 끝부분이 요형(凹型)이고 소엽의 주변 상단부 약 1/3정도에 톱날모양(鋸齒)이 있음. 중앙의 소엽병(小葉柄)이 양측 소엽병보다 길음. 지표면 근관(根冠)에서 다수의 가지가 나오고, 줄기는 단단하고 속이 비어 있으며 쉽게 목질화(木質化)가 됨. 뿌리는 35m까지 깊이 내려갈 수 있는 직근(直根)이 있으며 넓게 퍼짐. 꽃은 잎겨드랑(葉腋)이 에서 길게 나온 화경(花梗) 끝에 2030개의 꽃이 뭉쳐 착생하여 총상화서(叢狀花序, raceme)를 이룸. 결실된 꼬투리는 나선형 모양으로 두세번 말려 있고, 그 속에 26개의 종자가 들어 있음. 종자는 타원형 또는 심장형으로 황록색이며 종피에 광택은 없음. 시간이 경과하여 과숙하면 검정색으로 되어 경실종자(硬實種子, hard seed)가 됨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식물로 기후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여, 알라스카의 -25℃와 미국 California50℃에서도 생존함. ()을 좋아하고 고온 건조라 할지라도 관수(灌水)해 주면 생육이 좋음. 서리에는 다소 견디지만 영하의 온도에서는 잎이 고사(枯死). 생육온도는 535℃ 이고, 생육적온은 2030℃ 이다. 뿌리가 땅속 깊이 뻗기 때문에 가뭄이나 고온에 강한 반면 과습(過濕)이나 침수(浸水)에는 약한 편임.  내한성(耐寒性)은 강하고 수분을 많이 요구하며 경합력이 강함. 기호성이 좋고 단백질 함량은 높으며 전분함량이 적은 편임. 토양은 중성토양에서 잘 자라며 pH6.5 이하의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불량함. 그리고 내알카리성과 내염성(耐鹽性)에도 좋지 않으며 붕소가 결핍한 곳에서도 생육이 좋지않음. 뿌리가 깊이 뻗는 심근성이기 때문에 토심이 깊고 기경지(旣耕地)이며 평탄 비옥한 곳이 좋음. 토양에 석회 함량이 많고, 알류미늄, 마그네슘 같은 미량원소가 풍부하면 좋음. 지하수위가 낮고 점토나 사토가 아닌 곳이 좋으며, 암반층(岩盤層), 또는 사력층(砂礫層)이 얕게 있으면 재배지로 부적합함

  ○ 재배와 이용 : 파종적기는 중부지방은 8월 하순∼9월 상순, 남부 지방에서는 9월 중순임. 파종량은 조파의 경우 ha20kg, 산파의 경우 30kg 파종함. 신개간지에서는 근류균을 접종하고 인산비료와 붕사를 시용함. 근류균에 의한 질소공급이 있을때 까지는 질소비료가 필요하므로 파종시 기비로 ha당 질소 80kg 시용하고, 생육 후기에는 질소비료는 주지 않아도 됨. 인산은 ha200kg를 봄과 가을로 나누어 2회 시용하고, 가리는 ha180kg를 매회 수확후 분시함. 붕소는 ha1020kg를 파종할 때 기비로 사용하고 3년마다 주기적으로 시용함. 수확은 10% 개화했을 때 하고, 1회 예취후 3540일 간격으로 수확하며 년간 46회 함. 예취높이는 610cm 높이로 함

 

  ○ 장려품종 : Pacer, P5444, Scout, Vernal, Team, Drummor, Luna

 

 2)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

  ○ 학명 : Trifolium repens L.

  ○ 원산지 :  지중해 동북부, 서부 아시아

  ○ 내력과 분포 : 온대, 아열대에 자생하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음. 아열대 지대에서는 선선한 곳, 열대 지대에서는 고지대에서 중요한 두과식물임. 유럽에서는 중요한 초종이 아니지만 미국,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중요한 초종이고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2차 대전 이후 재배하기 시작하였음

  ○ 형태적 특징 : 다년생 하번초(下繁草)이며 포복성 두과식물임. 잎은 어긋나게 나오고 긴 엽병(葉柄)이 있으며, 3개의 소엽과 2개의 탁엽으로 구성되어 있음. 소엽은 선단이 요형(凹型)이고 하부 가장자리에 거치(鋸齒)가 있으며 모양은 난형 또는 심장형이며, 탁엽은 끝이 뾰쪽함. 뿌리는 주근이 깊이 뻗고 측근은 비교적 얕게 퍼짐. 강한 포복경(stolon)이 있으며 포복경의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나오고 싹이 나와 새로운 식물체를 형성함. 종자는 심장형 또는 원형이며 황색 또는 갈색이고 소립임. 종자에는 경실종자(hard seed)가 섞여 있음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식물이며, 영속성이 좋음. 초기 생육이 빠르고 여름생육이 왕성하며, ()에 대한 경합력도 강함. 근류균과 공생하며 재생력도 강함. 내한성(耐寒性)은 다소 약하며, 생육최적온도는 2028, 생존 한계온도는 -15, 생육개시 온도는 45℃ 이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너무 덥거나 너무 건조한 곳에서는 생육이 불량함. 뿌리가 얕게 뻗어 가뭄을 쉽게 타고, 포복경이 있어 빈자리를 쉽게 채움. 근류박태리아의 질소 고정능력이 높고 환경조건에 적응력이 비교적 큰 편임. 토양은 가리지 않고 척박지, 점토, 모래땅 등에 잘 적응하지만 내알카리성과 내염성에는 약()

  ○ 재배와 이용 : 주로 화본과와 혼파하며 이때 파종량은 ha23kg, 단파일 경우에는 ha15kg 파종함. 단파(單播)일 경우 초기에는 질소비료가 필요하지만, 정착되면 질소비료는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인산과 가리비료는 주어야 함. 화본과와 혼파했을 경우, 관리 비료로 질소를 주지 않으면 Clover 우점현상이 나타남. 특히 채초지보다 방목초지에서 그 현상이 뚜렸함. 화이트 클로버는 조단백질, Ca, mineral, carotin 등의 함량이 많고, 조섬유 함량이 적으며 가축의 기호성과 소화율이 높아 소가 잘 먹는 방목용 초종임. 이 초종에는 청산(靑酸)의 전구물질이 들어있어 가축의 체내에서 청산을 형성, 가축을 폐사까지 이르게 하는 경우가 있음

  ○ 장려품종 : California Ladino, Regal

 

 

 

 3) 레드 클로버(Red clover)

  ○ 학명 : Trifolium pratense L.

  ○ 원산지 : 지중해 연안과 서남아시아

  ○ 내력과 분포 : 유럽 각국에서 재배하고 있고 북Africa, 남시베리아 등 세계로 분포 되어있음. AD 3세기부터 남유럽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현재는 아열대 고지대에서도 재배하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1907년 수원 권업모범농장에서 처음 재배가 시작되었음

  ○ 형태적 특징 : 잎은 호생(互生), 단병(短柄), 3개의 소엽이 있고, 엽병(葉柄)은 아래 것은 길고 위에 것은 짧음. 소엽(小葉, leaflets)은 크고 난형이며, 각 소엽의 중앙에 백색반점(白色斑點)이 있음. 소엽의 주변에는 거치가 없고 표면과 이면에 백색 털이 나 있음. 줄기는 3060cm 길고, 곧게 서며, 털이 나 있음. 뿌리는 주근(主根)이 직근(直根)이고 얕게 뻗으며 많은 곁 뿌리가 있음. 근관(根冠, crown)에서 많은 줄기가 발생한. 꽃은 잎 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그 끝에 분홍색인 여러 개의 꽃이 둥글게 두상으로 달려있음. 종자는 소립이고 심장형이며 황흑색임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 두과식물이며 초형은 직립(直立), 총생(叢生)이고, 포복경은 없음. 수명은 우리나라에서 단년생으로 23년 지속됨. 내한성은 AlfalfaSweet clover 만은 못하고, 경합력은 유묘기때 다른 두과나 화본과 보다 강함. 영양생장 기간중 잎의 크기는 온도와 광()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절간신장은 단일(短日)에서는 이루어 지지 않고, 일장(日長)1316시간 되어야 대부분의 품종이 개화함. 수분을 많이 요구하며, 초기에는 질소비료가 필요하나 크면 질소비료는 주지 않으나 인산 칼리비료는 시용함

  ○ 재배와 이용 : 서늘한 기후와 온난한 기후를 좋아하며, 토양의 적응 범위는 넓은 편이나 배수 양호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이 좋음. 중성 토양에서 생육이 좋고 pH5 이하와 건조한 토양에서는 생육이 부진함. 내염성(耐鹽性)은 약하나 강산성과 강알카리성 토양에서는 어느 정도 적함. 파종은 단파(單播) 또는 Timothy 등 화본과와 혼파하며, 건초나 방목 또는 녹비() 등으로 이용함. 예취이용은 년간 2, 방목이용은 년간 34회 함

  ○ 장려품종 : Kenland, Titus, Atlas, TR 2000


 


 4) 크림슨 클로버(Crimson clover)

  ○ 학명 : Trifolium incarnatum L.

  ○ 원산지: 남유럽인 스페인, 이탈리아와 Africa

  ○ 내력과 분포 : 염색체는 2배체(2x=14) 식물임. 꽃은 선홍색이며 이 꽃색에서 Crimson이란 이름이 유래했다함

  ○ 형태적 특징 : 잎에는 3개의 소엽과 2개의 탁엽이 있음. 키는 4060cm 이고, 줄기가 가늘며 자색이고 털이 많이 있음. 줄기는 쉽게 목질화(木質化) 되며 하나의 그루터기에서 2050개의 줄기가 나옴. 뿌리는 주근(主根)이 깊게 뻗고 지근(枝根)이 많이 발생함. 꽃은 선홍색이며 두화(頭花)45cm 길고, 줄기선단에 착생하며 짧은 방추형 또는 장난형이다. 꼬투리는 난형()이고 선단이 뾰쪽하며 1실에 종자 하나가 들어 있음. 종자는 타원형이고 적황색(赤黃色)이나 담갈색(淡褐色)인 것도 있으며, 신선한 종자에는 광택이 약간 있으나 종자가 오래되면 퇴색되어 암색(暗色)으로 변하고 광택은 없어짐

  ○ 생리적 특성 : 습윤한 기후를 좋아하고 지속적인 건조나 봄 한발에 민감하며, -2℃ 이하에서 동해를 받음. 내음성(耐陰性)이 좋아 과수원 나무 밑이나 다른 작물과 혼작해도 좋음. 토양은 배수가 양호하면 사질점토에서도 잘 생육하나 부식이 많은 토양이 좋음

  ○ 재배와 이용 : 파종을 봄에 하면 영양생장 기간이 짧아 얼마 크지 못하고 꽃대가 나와 수량이 적으므로 가을에 파종함. 파종량은 산파할 때 ha40kg, 조파할 경우에는 30kg . 재배는 단작 또는 호밀, Italian ryegrass 등 과 혼파 재배함. 개화기가 지나면 목질화되어 품질이 불량해 짐. 생초나 건초로 이용하고, 때로는 관상용으로도 이용함

  ○ 장려품종 : Tibee


 


 5) 버즈풋 트레포일(Birdsfoot trefoil)

  ○ 학명 : Lotus coniculatus L.

  ○ 원산지 : 지중해 연안 

  ○ 내력과 분포 : 유럽, 스칸디나비아, 아시아 등 세계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도 서해안, 남해안, 제주도 지역에 자생하고 있음. 염색체는 2배체와 4배체가 있으며, 옛날 우리 선조들이 소와 말 사료로 이용했음

  ○ 형태적 특징 : 잎은 줄기의 양측면을 따라 어긋나게 나오고, 잎자루(葉柄)는 길고 3개의 소엽과 2개의 탁엽이 있음. 2개의 탁엽이 소엽으로 변하여 형태적으로 5개의 소엽이 있는 것 같이 되어있음. 소엽은 타원형이고 끝부분이 뾰쪽하며 잎 주변에 거치가 없음. 줄기는 가늘고 길며, 총생(叢生)이고 6각형임. 속은 비어있고 많은 가는 줄기가 나오고 줄기높이는 2040cm 이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땅을 기거나 비스듬히 서있음. 뿌리는 3060cm 깊이 뻗고, 직근이나 연약하고 곁뿌리가 많음. 꽃은 암황색 또는 담황색, 오랜지색 등 다양하며 화경(花梗)은 길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화경끝에 48개의 꽃이 군락으로 착생함. 꼬투리는 성숙하면 흑갈색이고 새발 모양 같음

  ○ 생리적 특성 : 한지형 C3 식물이고, 다년생 두과이며, 대기온도가 510℃ 이상 되어야 생장함. 고산지대에서도 잘 자라며, 내습성이 강하여 담수상태에도 어느 정도 견딤. 내건성(耐乾性), 내한성(耐寒性), 내음성(耐陰性), 내염성(耐鹽性), 내알카리성, 재생력 등은 좋으나 경합력이 약한 것이 단점임. 장일성 식물로 일조시간이 16시간 이상되어야 개화함. 토양도 적응범위가 넓어 점토에서 사질양토까지 여러 토양에 잘 적응하며 척박한 사질토에서도 생장은 하나 비옥한 토양에서 증수됨

  ○ 재배와 이용 : 우리나라 야산 개간지 또는 CloverAlfalfa가 생육이 잘 안되는 곳에 두과초종으로 재배함.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소화가 잘 되며 특수성분이 없어 고창증 우려도 없음. 이용은 생초나 건초 또는 Silage로 이용하고, 혼파하여 조방적인 방목으로도 이용 함. 혼파초지 에서는 땅 표면을 기어 다른 화본과 초종을 억누르기도 함

  ○ 장려품종 : Empire, Viking


 


2. 초종별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목초의 건물수량은 재배지의 토양, 기후환경 및 시비관리 등 기술의 적용여부에 따라서 다양하고, 사료가치도 수확시기에 따라 차이가 많음

 

 표 1. 초종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초 종 명

건물수량
(/)

사료가
(-18)*

오차드그라스

12.012.6

7

톨 페스큐

13.514.7

4

티모시

10.711.4

8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10.011.5

8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13.5

7

켄터키블루그라스

9.211.0

8

리드카나리그라스

14.0

5

라디노클로버

7.5

8

레드클로버

12.015.0

7

알팔파

12.015.0

8

버즈훗트레포일

6.07.5

7

레스페데자

7.5

7


) 10등급으로 구분 : 8(사료가치 가장 좋음), 0(사료가치 없음), -1 (가축에 유해)초종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