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야생화 팀

천남성

작성자상수리나무|작성시간09.05.28|조회수248 목록 댓글 2

천남성

이명 : [가새천남성] [청사두초] [톱이아물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

분류군 : Araceae(천남성과)

일명 : テンナンショウ(天南星 ; Tennansho)

영명 : Serrate Amur Jackinthepulpit

요즘 천남성이 한창 피고있어요. 숲에 들어만 가면 배꼽인사로 반갑게 맞이해 주는  천남성을 만날 수 있어서 반갑습니다.

먼저 천남성에 대한 백과사전 내용을 검색해 봅시다.

천남성 []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분류 천남성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서식장소 산지 습지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5~50cm로 외대로 자라고 굵고 육질이다. 알줄기는 편평한 공 모양이며,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의 겉은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고 1개의 잎이 달리는데 5~11개의
작은잎으로 갈라진다. 그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포의 통부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열매는 장과(漿)로 옥수수처럼 달리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알줄기는 거담·진경·소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중풍·반신불수·상풍·종기 등에 사용한다. 유독성 식물이다. 한국·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포가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고 세로로 흰 줄이 있는 것을 남산천남성(var. violaceum), 작은잎에 톱니가 없고 포가 녹색인 것을 둥근잎천남성(var. typicum)이라고 한다.-출처:네이버백과-

천남성이란 이름의 유래는 『神農本草經』에서는 천남성을 호장(虎掌)이라 하였습니다.
그 모양이 크고 둥근 덩이줄기 주변에 구형의 곁눈이 있어서 범의 발바닥처럼 생겼다 해서 호장이라 이름 붙였으나 후대에 와서 천남성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곁눈이 없는 경우도 많거니와 천남성의 약성이 極陽에 가까워 하늘에서 가장 陽氣가 강한 남쪽별을 빗대어 이름을 정했다고 합니다. 

천남성의 북미의 이름의유래는  Jack-in-the-pulpit라고하며 그꽃의 모양이 설교단에서서 꽃을 전달할준비를 하고 있는 사람처럼보인다하여 붙여졌다고합니다.

-네이버 지식IN-


천남성은 모양이 특이하여 분화로도 즐겨심는데 두루미천남성이나 큰천남성은 모양이 아름다워 더욱 인기가 많지요.

흔히 꽃꼿이나 신부의 부케로 쓰이는 칼라[calla]라는 순경을 상징하는 순백의 꽃을 아실거에요. 이 꽃도 천남성과의 식물입니다.

천남성과의 식물들로는 이른 봄 꽃을 피우는 앉은부채와 , 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반하가 있으며 창포속의 창포와 석창포도 사촌입니다.

천남성의 종명 Arisaema는 그리스어의 aris(arum이란 식물)와 haima(혈액)의 합성어이며 잎에 반점이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합니다. 

종소명 amurense는 '아무르 지방의'라는 뜻이며 serratum은 '톱니가 있는'이란 뜻으로 잎에 톱니가 있음을 뜻합니다.

일본명은 우리와 같이 天南星이라고 부릅니다.

영명은 종명 만큼이나 많은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Wild arum, Lords and Ladies, Devils and Angels, Cows and Bulls, Cuckoo-Pint, Adam and Eve, Bobbins, Naked Boys, Starch-Root and Wake Robin.

꽃차례를 둘러싸고 있는 포(苞)라는 잎이 꽃잎을 대신합니다.
꽃잎도 없고 꽃자루도 없이 꽃가루만이 잔뜩 있는 자잘한 꽃들이 육수꽃차례로 달려 있습니다.

암수 딴 그루이지만 환경여건에 따라 해를 달리하여 성전환하기도 한답니다.

금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어 다음해 봄 덩이뿌리에 저장되어 있는 양분이 20% 이상이면 다시 암꽃을 피우나

그 이하가 되며는 숫꽃을 피운다 합니다. 남아있는 양분이 4% 정도로 미약하면 아예 꽃을 피우지 않는다고하네요. 

그래서 성 전환을 한다고 하는 것이라 합니다. 트랜스젠더라고 하여야 할까요?

 

수꽃에서 꽃가루를 묻힌 곤충들이 암꽃으로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고 죽어야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꽃 속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로 밤에 꽃을 피우며 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합니다.

때문에 따뜻한 곳을 찾는 야행성 곤충들을 유인하여 가루받이를 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벌레란 놈들은 남의 sex를 즐겨 보다 그만 숨이 넘어가는 것이라 할까요^^ 

 

 맨 위의 사진은 육수에 씨앗이 여무는 과정에 있는 암꽃이고 위의 사진은 숫꽃 사진입니다.

꽃을 싸고 있는 포의 뒷쪽에 위에 보이는 작은 구멍이 있는 것이 숫꽃이라 합니다.

숫꽃은 가루받이를 끝내면 이렇듯 누렇게 시들어 갑니다. 

천남성과 식물은 예로부터 백부자와 함께 사약의 재료로도 사용되었을 정도로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특별히 유의하여야 합니다.

천남성은 자칫 첫남성(男性), 첫번째 남자 친구로 오인될 수 있지요? 숲해설을 하다가 여성 탐방객에게 첫남성이 있었나요?

하고 물으면 당황해 합니다. 하지만 천남성은 天:하늘 천 南:남녁 남 星:별 성, 즉 남쪽 하늘에 떠있는 별이라는 뜻이지요.

음양사상을 중시하는 중국에서 천남성은 약성이 강하여 양(陽)의 기운 중에서도 극양(極陽)에 속하여 남쪽 하늘에 떠있는 별의

기운을 갖춘 풀이라 하여 천남성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합니다. 

 

천남성속의 종들로는 세계에 약 150종이나 되는 큰 무리를 갖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종들로는

거문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subsp. geomundoense S.C.Ko  - '거문도에서 자라는'

눌맥이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f. convolutum (Nakai) Y.S.Kim & S.T.Ko -반도에 서식하며 고리나 코일처럼 말린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 '잎이 두장의'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 '아무르 지방의'

무늬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Blume 

섬천남성 Arisaema negishii Makino 

섬남성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지방의'

점박이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Nakai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등이 있으며 재배품종도 10여종이 있습니다.

리우밴세천남성 Arisaema ciliatum var. liubaense Gusman & Gouda 

스페키오숨천남성 Arisaema speciosum (Wall.) Mart. 

시코키아눔천남성 Arisaema sikokianum Franch. & Sav. 

야포니쿰천남성 Arisaema japonicum Blume 

칸디디시뭄천남성 Arisaema candidissimum W.W.Sm. 

콘상귀네움천남성 Arisaema consanguineum Schott 

토르투오숨천남성 Arisaema tortuosum Schott 

트리필룸천남성 Arisaema triphyllum Schott 

프로핀쿠움천남성 Arisaema propinquum Schott 

플라붐천남성 Arisaema flavum Schott 

 

자료 출처 : 국가표준식물목록구축시스템

 

 

일본 Site에 올려져 있는 종들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てんなんしょう (天南星) 

学名  Arisaema consanguineum
日本名  テンナンショウ
科名(日本名)  サトイモ科
  日本語別名  ヘビノダイハチ、ヘビコンニャク、マムシグサ
漢名  天南星(テンナンセイ,tiannunxing)
科名(漢名)  天南星科
  漢語別名  山苞米(サンホウベイ,shanbaomi)、虎掌南星(コショウナンセイ,huzhangnanxing)、山棒子(サンボウシ,shanbangzi)
英名  Jack in the pulpit

 テンナンショウ属 Arisaema(天南星屬)には、世界に約150種がある。

   ツルギテンナンショウ A. abei
   ヒガンマムシグサ(ナガバマムシグサ・ハウチワテンナンショウ・ナミウチマムシグサ) A. aequinoctiale(A. undulatifolium;A.stenophyllum;A.yosinagae)
   A. ambiguum(擬天南星)
『中薬志Ⅰ』図69
   A. amurense
     アムールテンナンショウ ssp. amurense(東北南星)
       ムラサキアムールテンナンショウ var. serratum(齒葉東北天南星)
     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ssp. robustum(A. robustum)
       アシウテンナンショウ var. ovale(A. ovale)
   ホソバテンナンショウ A. angustatum
     コウライテンナンショウ var. peninsulae(A.peninsulae;朝鮮天南星)
          
 『中国本草図録』Ⅳ/1913
   オドリコテンナンショウ A. aprile
   A. aridum(旱生南星)
 『中国本草図録』Ⅷ/3926
   A. asperatum(刺柄南星)
   A. auriculatum(大耳南星)
 『雲南の植物』43
   A. bathycoleum(高鞘南星・銀南星・銀半夏)
 『中国本草図録』Ⅵ/2923
   A. bockii(鮑氏天南星)
   A. brevipes(短柄南星)
   A. calcareum(紅根南星・紅根)
   モモイロテンナンショウ A. candidissimum(極白南星・白苞南星) 『雲南の植物』38
   A. clavatum(棒頭南星)
   テンナンショウ A. consanguineum(A.erubescens;天南星・南星)
          広くアジアに分布し、地域的な変異が大きい。
          
『中国本草図録』Ⅲ/1417・『中薬志Ⅰ』彩図10
   A. costatum(多脈南星)
   ホロテンナンショウ A. cucullatum
   A. decipiens(奇異南星)
   A. dilatatum(粗序南星)
   A. du-bois-reymondiae(江蘇南星・雲臺南星)
   A. echinatum(刺棒南星) 
『雲南の植物Ⅰ』261
   エヒメテンナンショウ A. ehimense
   A. elephas(象鼻南星・黑南星)
 『中国本草図録』Ⅰ/0404、『雲南の植物』40
   A. engleri(A.sikokianum var.serratum, A.sazensoo var.serrato-dentatum;
          燈臺蓮・粗齒燈臺蓮)
   A. erubescens(一把傘南星)
 『雲南の植物Ⅱ』264・『中国雑草原色図鑑』343
   A. exappendiculatum(圏藥南星)
   A. fargesii(螃蟹七・城口南星)
   A. fimbriatum
インドシナ産。『週刊朝日百科 植物の世界』11-87
   キバナテンナンショウ A. flavum(黄花南星・黄苞天南星)
          
『週刊朝日百科 植物の世界』11-87・『中国本草図録』Ⅴ/2397
   ゾウビテンナンショウ A. franchetianum(紫盔南星・象頭花・老母半夏)
         
  『雲南の植物Ⅱ』264・『雲南の植物』42・『中国本草図録』Ⅲ/1418
   A. fraternum(近縁天南星)
   フデボテンナンショウ A. grapsospadix
臺灣産
   A. griffithii
ヒマラヤ産
     var. verrucosum(疣柄翼檐南星)
   ハチジョウテンナンショウ A. hatizyoense(A.japonicum var.hatizyoense)
   アマミテンナンショウ
(広義) A. heterocephalum
     アマミテンナンショウ
(標準) ssp. heterocephalum
     オオアマミテンナンショウ ssp. majus
     オキナワテンナンショウ ssp. okinawense
   マイヅルテンナンショウ A. heterophyllum(異葉天南星・獨角蓮・天南星)
          日本(本州・四国・九州)・朝鮮(南部)・中国(東北・陝西・江蘇・江西・湖北・四川)
          
・臺灣に分布、『中国本草図録』Ⅶ/3401・『中薬志Ⅰ』図67
   A. hunanense(湖南南星)
   イナ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A. inaense(A.ovale var.inaense;A.amurense var.inaense)
   A. inkiangense(盈江南星・三匹箭)
 『中国本草図録』Ⅵ/2924
   A. intermedium(中南星・土半夏・高原南星)
   イシヅチテンナンショウ A. ishizuchiense(A.nikoense var.ishizuchiense)
   オモゴウテンナンショウ A. iyoanum(A. akiense)
     シコクテンナンショウ ssp. nakaianum
   A. jacquemontii
ヒマラヤ産
   マムシグサ A. japonicum(A.yakusimense, A.mayebarae, A.serratum var.mayebarae;
          蛇頭草・日本南星・蛇芋頭・鬼蒟蒻)
     ※大橋広好は、マムシグサの新しい定義を提案している。マムシグサを見よ。
   トクシマテンナンショウ A. kawashimae
   キシダマムシグサ A. kishidae
   ヒメウラシマソウ A. kiushianum
   アマギテンナンショウ A. kuratae
   A. lichiangense(麗江南星)
   ミミガタテンナンショウ A. limbatum
          (var.conspicuum, A.undulatifolium var.limbatum(var.ionostemma))
   A. lingyunense(凌雲南星)
   ヤマトテンナンショウ A. longilaminum
   A. lobatum(淺裂南星) 『中国本草図録』Ⅶ/3402
     var. rosthornianum(偏葉天南星・花南星) 『中国本草図録』Ⅶ/3403
   シコク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A. longipedunculatumm(A.robustum var.shikokumontanum)
     ヤクシマ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var. yakumontanum
   ウメガシマテンナンショウ A. maekawae
   ツクシマムシグサ
(ナガハシマムシソウ) A. maximowiczii
         (A. serratum var. maximowiczii;A. angustifoliatum;
         A. yosiokae;A. simense)
   ヒュウガ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A. minamitanii
   ハリママムシグサ A. minus(A.kishidae var.minus)
   ヒトツバテンナンショウ A. monophyllum
   A. multisectum(多裂南星)
   A. murrayi
南インド産
   ナギ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A. nagiense
   タカハシテンナンショウ A. nambae(A.undulatiflolium ssp.nambae)
   A. nanjenense
   シマテンナンショウ
(ヘンゴダマ) A. negishii
   A. nepenthoides(猪籠南星・猪籠草状南星)
 『雲南の植物』42
   ユモトマムシグサ A. nikoense
     オオミネテンナンショウ ssp. australe
     ヤマナシテンナンショウ var. kaimontanum
   オガタテンナンショウ A. ogatae
   A. omeiense(峨眉南星) 『中国本草図録』Ⅶ/3404
   A. ovale
     アシウテンナンショウ var. ovale(A.robustum var.ovale)
     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var. sadoense(A.robustum)
   A. penicillatum(頂刷南星・廣東土南星・畫筆南星)
   コウライテンナンショウ A. peninsulae(A.angustatum var.peninsulae,朝鮮天南星)
     f. atropurpureum(紫苞朝鮮天南星)
   ミクニテンナンショウ A. planilaminum
   A. prazeri(河谷南星)
   A. rhizomatum(雪裏見)
   A. rhombiforme(黑南星)
   ムサシアブミ A. ringens(開口南星・油跋・由跋・普陀南星)
   カラフトヒロハテンナンショウ A. sachalinense
   A. saxatile(岩生南星)
   キリシマテンナンショウ
(ヒメテンテンナンショウ) A. sazensoo(A.nanum)
   セッピコテンナンショウ A. seppikoense
   カントウマムシグサ A. serratum(天南星・細齒天南星)
     
※大橋広好は、マムシグサの新しい定義を提案している。マムシグサを見よ。
   ユキモチソウ A. sikokianum(全緣燈臺蓮・細齒燈臺蓮)
     var. henryanum(七葉燈臺蓮)
   カルイザワテンナンショウ A. sinanoense
   A. sinii(瑤山南星)
   ヤマジノテンナンショウ A. solenochlamis
   ナガヒゲウラシマソウ A. taiwanense
   ヤヤマムシグサ A. takedae(A.suwoense,A.japonica var.atropurpureum,
   ツキシヒトツバテンナンショウ A. tashiroi(A.maximowiczii ssp.tashiroi)
   ミツバテンナンショウ A. ternatipartitum
   A. thunbergii(虎掌)
     ナンゴクウラシマソウ ssp. thunbergii 日本(本州山口県・四国・九州)に分布
     ssp. geomunoense
     ウラシマソウ ssp. urashima(A. urashima)
日本(北海道・本州・四国・九州)に分布
     ssp. geomunoense
   A. tortuosum(鼠尾南星)
   アオテンナンショウ A. tosaense
   ナガバマムシグサ
(ヒガンマムシグサ・ハウチワテンナンショウ・ナミウチマムシグサ)
         
A. undulatifolium(A.aequinoctiale;A.stenophyllum;A.yosinagae)
     ミミガタテンナンショウ var. ionostemma(A. limbatum)
     タカハシテンナンショウ ssp. nambae
     ウワジマテンナンショウ ssp. uwajimense
   ウンゼンマムシグサ A. unzenense
   A. verrucosum(多疣天南星)
   A. wilsonii(川中南星) 
『雲南の植物Ⅰ』261・『中国本草図録』Ⅴ/2398
   ムロウテンナンショウ A. yamatense
     スルガテンナンショウ ssp. sugimotoi(A.yamatense var.intermedium)
   A. yunnanense(A.taliense;滇南星・山珠南星)
 『雲南の植物』43・『中国本草図録』Ⅴ/2399 

 

자료 출처 : http://www2.mmc.atomi.ac.jp/web01/Flower%20Information%20by%20Vps/Flower%20Albumn/ch6-foreign%20flowers/tennansho.htm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뚝딱이 작성시간 09.05.29 아주 유익한 정보입니다..
  • 작성자ktw청솔 작성시간 09.05.30 산행시 흔히 보는 야생화로 공부하며 갑니다...감사..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